본문 바로가기
웰빙이야기

하품이 계속 나오는 원인과 의심되는 질병은?

by 감사둥이 2017. 7. 3.

 

 

 

 

하품이 계속 나온다면 '이것' 의심해봐야

 

 

 

 

평소 하품을 자주 하는 편이라면

하품을 자주 하는 원인에 대해 곰곰이 생각해 보아야 한다.

 

단순히 몸이 피로해서 하품을 하는 것이라면 크게 신경 쓰지 않아도 되지만,

 건강에 이상이 생겼다는 징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지금도 이 글을 보면서 하품을 하고 있다면 하품을 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하품 외에 다른 증상은 없는지 생각해보자.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하품의 원인이다.

 

잠이 부족할 경우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한 뇌가 지쳐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하품이 나오는 것이다.

수면 시간이 적어 피로가 누적되거나 교대 근무, 일정하지 않은 스케줄로 인해

생활 패턴이 자주 바뀌는사람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또한, 수면 장애를 앓고 있어 좀처럼 잠들기 어렵거나

한밤중에 몇 번이나 깨어났다가 다시 잠드는 것을 반복하는 사람에게서 볼 수 있다.

 

 

밤에 잠을 많이 자는데도 낮에 졸음이 쏟아지고 하품을 계속한다면

수면 무호흡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수면 무호흡증이란 수면 중 호흡 정지가 빈번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심한 코골이와 주간 졸음증을 동반한다.

 

밤에 잠을 자는 동안 코를 심하게 골면 숙면을 취할 수 없고,

몸에서 피로를 느껴 낮에 졸음이 쏟아지는 것이다.

 

충분한 시간 동안 잠을 자는데도 낮에 쏟아지는 졸음을 참을 수 없다면

병원을 방문해 수면 무호흡증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편두통은 뇌내 호르몬인 세로토닌 분비 이상에 의해 발생하는 두통으로,

중증도 이상의 박동성 통증이 나타나고 구역질이나 구토, 빛이나 소리 공포증을 동반한다.

 

편두통이 발생하기 전에 나타나는 전조증상이 있는데, 그중 하나가 하품이다.

 

편두통은 주로 스트레스, 과로, 수면부족 등 뇌가 지쳐있는 상태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편두통이 나타나기 전 하품이 계속 나는 경우가 있다.

 

편두통을 해결하기 위해 평소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가급적 너무 피로한 상황을 만들지 않아야 한다.

 

 

 

 

 

갑자기 심장이 빠르게 뒤거나 불규칙적으로 뛰며 어지럼증을 동반하는 빈혈이 나타날 때가 있다.

 

빈혈은 혈액이 인체 조직의 대사에 필요한 산소를 충분히 공급하지 못해

조직의 저산소증을 초래하는 경우를 의미한다.

 우리 몸에서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는 일은 혈액 내의 적혈구가 담당하고 있는데,

적혈구가 부족할 경우 빈혈이 발생한다.

 

빈혈은 뇌의 산소 부족 상태가 계속되면 뇌의 활동이 저하되어 나타나는데,

이때 뇌가 더 활발하게 활동하기 위해 하품을 자주 하게 되는 것이다.

 

 

 

 

 

심근경색이란 심장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3개의 심장 혈관 중

어느 하나라도 혈전증이나 혈관의 빠른 수축 등에 의해 급성으로 막히는 경우,

심장의 전체 또는 일부분의 산소와 영양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들어

심장 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는 상황을 의미한다.

 

심근경색이 나타나면 부교감 신경이 자극되어 하품이 계속 나올 수 있다.

강한 가슴 통증이 나타나고 지속적으로 하품을 한다면

신속하게 병원을 방문해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뇌경색은 허혈성 뇌졸중이라고도 부르며,

뇌혈관의 폐색으로 인해 뇌 혈류가 감소되어 뇌조직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뇌혈관이 막히면 막힌 곳에는 혈액이 흐르지 않기 때문에 뇌세포가 죽어 버린다.

이때 뇌의 활동이 매우 저하되기 때문에 하품이 자주 나오는 것이다.

 

뇌경색의 가장 흔한 원인은 고혈압, 당뇨, 고지혈증 등이므로

평소 철저하게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협심증이란 심장 혈관이 동맥경화증, 혈전, 경련 수축 등의 원인에 의해 협착되어

 심근에 허혈이 생기면서 나타나는 질환을 의미한다.

 

협심증은 관상동맥이 완전히 막히거나(심근경색), 심장이 정지해 목숨을 잃을 수 있다.

 

협심증은 뇌를 포함해 전신에 흐르는 혈액량이 현저하게 줄어들기 때문에

하품을 계속하거나 호흡 곤란, 현기증, 가슴 통증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증상이 나타나면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으니 병원에 가서 치료를 받는 것이 좋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이란 갑상선에서 갑상선 호르몬이 잘 생성되지 않아

 

체내에 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저하되거나 결핍된 상태를 의미한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증상은 매우 모호한데 주로 만성 피로, 식욕 부진, 체중 증가, 변비 등이 있다.

 

 

 갑상선 호르몬 농도가 낮아져 몸에서 극도의 피로를 느끼기 때문에 계속해서 하품을 하게 되는 것이다.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약물 복용으로 갑상선 기능을 정상으로 만들 수 있으므로

 

위의 증상이 나타난다면 병원에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원문보기 데일리라이프

http://m.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8256428&memberNo=15460571